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제8차] 함께연 세미나 알림 함께하는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8차 함께연 세미나를 가질 예정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일 시 : 2022. 5.10.(화) 오후 2:00~4:00 장 소 :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사무실 발표자 : 최현임 박사 주 제 : 초등 방과후돌봄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 모색 실행연구(Action Research) 참여 신청방법 : book.coresearch@gmail.com 로 성함과 연락처, 참여 신청 메시지를 보내주세요. (*신청 후 불참 시에도 이메일 부탁드립니다) [2022년 하반기] 함께읽기 안내 함께하는연구는 매월 1권 책을 읽고 있습니다. 함께읽기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습니다. 참여하고 싶으신 분은 메일 주세요. 일시: 매월 넷째 주 화요일 오전 (시간은 추후 공지) 장소: 함께하는연구 (관악구 남현동) 참가 신청을 위한 이메일: book.coresearch@gmail.com 일정 도서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도 7월 26일 햇빛도 때로는 독이다 박은정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8월 23일 순이 삼촌 현기영 /창비 /2015 9월 27일 어린이라는 세계 김소영 /사계절 /2020 10월 25일 헬프 미 시스터 이서수 /은행나무 /2022 2022년 주요 활동 연구활동 | 제5기(2023~2026) 성북구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연구용역 (성북구청/2021.12.20~2022.10.15) 지자체별 지역아동센터 지원 현황과 실태 조사 연구 (사단법인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2022.2.1~2022.4.30) 제5기(2023~2026) 용산구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연구용역 (용산구청/2022.4.1~2022.10.7) 제5기(2023~2026) 금천구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연구용역 (금천구청/2022.4.28~2022.10.24) 성폭력 피해자 통합지원 매뉴얼 개발 연구 (한국여성인권진흥원/ 2022.7.1~2022.10.31) 용인시 문화도시 조성계획 성별영향평가 (용인시청/2022.6.22~2022.12.21) 청년도전지원사업 참여자 현황 분석 (생명의전화종합사회.. 공간 대여 안내 이용 시간 | 평일 오후 5시 이후, 주말이나 휴일 이용 요금 | 3명 이하 20,000원/1시간 추가 1명 당 10,000원/1시간 (최대 8명 이용 가능) 협동조합, 시민단체 소속 10% 할인 카드결제, 세금계산서 발급 가능 기타 사항 | 연구소 공간 단독 사용 무료 와이파이 복사기 및 프린터 (1매 50원) 빔 프로젝터 (시간당 1만원) 커피 및 차 무료 제공 2시간 무료주차(기계식 주차)/인근 홈플러스 남현점에 무료주차 가능 문의 | book.coresearch@gmail.com, 070-4312-0302 문의시, 이용일시/인원수/신청자 성명 및 연락처/기타 문의사항을 적어주세요. 2022년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정기총회 개최 2022년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정기총회를 개최합니다. 1. 일시 : 2022. 2. 22. (화요일) 오후 1시 2. 장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과천대로 939, 르메이에르강남타운2차 913호 3. 안건 : 가. 2021년 사업 및 회계 감사보고 나. 2021년 사업 및 결산보고 다. 2022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라. 정관변경 승인의 건 마. 임원변경 승인의 건 등 2022. 2. 8.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이사장 조 미 형 [2022년 상반기] 함께읽기 안내 함께하는연구는 매월 1권 책을 읽고 있습니다. 함께읽기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습니다. 참여하고 싶으신 분은 메일 주세요. 일시: 매월 넷째 주 화요일 오전 (시간은 추후 공지) 장소: 함께하는연구 참가 신청을 위한 이메일: book.coresearch@gmail.com 일정 도서명 저자(출판년도) 1월 25일 기본소득이 알려주는 것들 야마모리 도루(2021) 2월 22일 정의란 무엇인가(공정하다는 착각) 마이클 샌델(2014,2020) 3월 22일 누구도 벼랑 끝에 서지 않도록 이문수(2021) 4월 26일 Believing: Our Thirty-Year Journey to End Gender Violence Anita Hill(2021) 5월 24일 나와 타자들 이졸데 카림(2019) 6월 28일 다정한 .. [제7차] 함께연 세미나 [제7차] 김지선 박사 초청세미나 (2021. 11.23) 함께하는연구는 사회보장정보원 김지선 박사를 초청하여 '가정외보호 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과 자립'이라는 주제로 제7차 함께연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김지선 박사는 2019년 보호종료 청소년 자립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정외보호 종료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이 자립의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지와 외상후 성장 유형을 분석하였습니다. 2019년 보호종료 청소년 자립실태조사는 이화여대 아동가족연구소에서 진행한 연구로, 가정외보호 경험이 있으며 2013년~2019년 보호조치가 종료된 청소년(40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연구결과,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립생활기술 점수가 높았으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외상후.. [제7차] 함께연 세미나 알림 함께하는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7차 함께연 세미나를 가질 예정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일시 및 장소 : 2021. 11. 23.(화) 오후 6:00~8:00,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발표자 및 주제 : 김지선 박사(사회보장정보원), '가정외보호 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과 자립' 참여 신청방법 : book.coresearch@gmail.com로 성함과 연락처, 참여 신청 메시지를 보내주세요. (*신청 후 불참 시에도 이메일 부탁드립니다) 킴 닐슨의 『장애의 역사』 작성자: 이승영 함께하는연구의 2021년 8월 함께읽기에서 읽고 토론한 도서는 킴 닐슨 저자, 김승섭 번역의 『장애의 역사』 (동아시아 출판, 2020년)이다. 본 글에서는 『장애의 역사』를 간략히 소개하고, 개인적인 감상평을 제시한다. 원서 제목: A Disability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번역 출판된 이 책의 한국어 판의 제목은 '장애의 역사'이지만, 이 책의 원제는 "A Disability History of the United States"로, 직역하면 '미국의 장애사'다. 15세기 이전 북아메리카 토착민이 거주하던 시기부터 원서가 출간된 2010년 초반에 걸친 시기를 관통하며 미국에서 '장애'가 어떻게 등장하고, 어떻게 다뤄졌으며, 어떠한 과정을 거쳐 그 개념과 .. [협동조합 교육] 영화 함께관람 <위 캔 두 댓!> 후기 상영일시: 2021. 07. 06.(화) 오후 12시 상영장소: 함께하는연구 영화 위 캔 두 댓 후기 (1) 작성자1. 차훈민(실습생) 영화 (2008)은 안티카 협동조합 180(이하 협동조합 180)이 운영되는 과정에서 주인공 넬로와 정신장애를 가진 조합원들의 삶이 교차하며 발생하는 사건 사고를 다룬다. 넬로는 급진적인 성향으로 인해 소속 조합에서 쫓겨나 정신병원 환자들로 구성된 협동조합의 매니저로 부임하게 된다. 협동조합 180은 ‘바자리아법’으로 불리는 법령180호에 의해 정신병원이 폐쇄되면서 갈 곳 잃은 환자들을 위해 설립되었다. 이 협동조합은 명목상으로만 존재하는, 의사가 이사장이고 환자들이 조합원인 정신병원의 또 다른 형태일 뿐이었다. 이곳에서 넬로는 협동조합의 7원칙을 실천하며 조합원들의 권.. [2021년 하반기] 함께읽기 안내 함께하는연구는 매월 1권 책을 읽고 있습니다. 함께읽기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습니다. 참여하고 싶으신 분은 메일 주세요. 일시: 매월 넷째 주 화요일 오전 (시간은 추후 공지) 장소: 함께하는연구 참가 신청을 위한 이메일: book.coresearch@gmail.com 일정 도서명 저자(년도) 7월 27일 소년이 온다 한강(2014) 8월 24일 장애의 역사 킴 닐슨(2020) 9월 28일 돌봄선언-상호의존의 정치학 더 케어 컬렉티브(2021) 11월 23일 있지만 없는 아이들 은유(2021) 1월 25일 기본소득이 알려주는 것들 야마모리 도루(2021) 2월 22일 정의란 무엇인가 (+공정하다는 착각) 마이클 샌델(2014, 2020) [제6차] 함께연 세미나 [제6차] 이명희 박사 초청세미나 (2021. 6.1) 함께하는연구는 인권정책연구소(humanpolicy.com) 이명희 박사를 초청하여 '장애와 삶,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주제로 제6차 함께연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독일에서 장애복지학을 전공한 이명희 박사는 독일의 장애인 정책의 변화와 사회 각 영역에서의 정책 사례들을 소개해주었습니다. 최근의 정책변화로 독일은 2016년 연방참여법 제정을 통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전면적인 사회 참여와 궁극적인 통합(Inclusion)을 지향하는 것으로 사회통합부조의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 등을 설명해 주었습니다. 본 세미나는 독일과 한국의 장애인 관련 관점과 정책의 변화를 비교해보고, 장애인의 삶에 대한 관점, 정책이 지향해야할 바를 함께 고민하고 의견을 나누.. [협동조합 교육] 영화 함께 관람 <위 캔 두 댓!> 함께하는연구는 영화 '위 캔 두 댓!'(We Can Do That, Si Puo Pare)을 함께 관람하시는 시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위 캔 두 댓!'은 1980년대 이탈리아 밀라노를 배경으로 정신병원에서 나온 환자들의 협동조합 경험을 담은 영화입니다. (다음 영화정보 참고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55076 ) 영화 : (2008, 이탈리아, 울리오 만프레 도니아 감독, 상영시간 111분) 일시 및 장소: 2021. 7. 6.(화) 12시,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참여 신청방법 : book.coresearch@gmail.com 으로 성함과 연락처를 보내주세요.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사전 신청하신 분만 함께 관.. [제6차] 함께연 세미나 알림 함께하는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6차 함께연 세미나를 가질 예정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일시 및 장소 : 2021. 6. 1.(화) 오후 2:00~4:00,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발표자 및 주제 : 이명희 박사(인권정책연구소), '장애와 삶, 패러다임의 변화' 참여 신청방법 : book.coresearch@gmail.com로 성함과 연락처, 참여 신청 메시지를 보내주세요. (*신청 후 불참 시에도 이메일 부탁드립니다) 2021년 주요 활동 연구활동 | 중증장애아동 돌봄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사단법인 토닥토닥/2021.4.6~2021.10.5) 영국의 장애아동 재활, 교육, 복지 서비스 연계 체계 사례연구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2021.5.1~2021.10.31) 제2차 서울시 인권정책 5개년 기본계획 정책 모니터링 연구 (서울특별시/2021.5.17~11.16) 2021년 경계선 지능 아동(느린학습자) 사회적응력 향상 지원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 (아동권리보장원 /2021.6.25~2021.12.24) 청년의 사회적 고립 척도개발 연구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2021.6.30~2021.12.31) 노원형 아동청소년친화도시의 발전적 이행을 위한 연구 (노원구청/2021.8.2~2021.11.29) 2020년 주요 활동 연구활동 | 성북구 틈새돌봄서비스 현황조사 및 운영성과분석 연구(성북구청/2019.12.30~2020.9.30) [현장연구활동지원] 지역기반 사회적 고립청년 밀착지원사업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2020.6.25~12.31) 청소년 실무자 교육 모니터링 사업(MnJ문화복지재단/2020.7.1~9.30) [현장연구활동지원]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장애인 욕구변화와 여주시장애인복지관 역할에 관한 현장중심 연구(여주시장애인복지관/2020.9.7~12.31) 지역아동센터 경계선 지능 아동 실태조사 연구(아동권리보장원/2020.11.5~12.18) 교육활동 | MnJ문화복지재단 (2020.7.1~9.30)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 [2021년 상반기] 함께읽기 안내 함께하는연구는 매월 1권 책을 읽고 있습니다. 함께읽기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습니다. 참여하고 싶으신 분은 메일 주세요. 일시: 매월 넷째 주 화요일 오전 (시간은 추후 공지) 장소: 함께하는연구 (주소 및 위치 보기) 참가 신청을 위한 이메일: book.coresearch@gmail.com 일정 도서명 저자(년도) 3월 30일 니클의 소년들 콜슨 화이트헤드(2020) 4월 27일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박석무 편역, 2019) 5월 25일 타인에 대한 연민: 혐오의 시대를 우아하게 건너는 방법 마사 누스바움(2020) 6월 22일 인간을 위한 미래 김도현 외(2020) 7월 27일 소년이 온다 한강(2014) 8월 24일 장애의 역사 킴 닐슨(2020) 2021년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정기총회 개최 2021년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정기총회를 개최합니다. 1. 일시 : 2021. 2. 9. (화요일) 오후 1시 2. 장소 : 서울 중구 퇴계로32길 34-7, 3층 3. 안건가. 2020년 사업 및 회계 감사보고나. 2020년 사업 및 결산보고다. 2021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등 2021. 1. 26.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이사장 조 미 형 『협동조합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협동조합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존 레스타키스 지음/번역협동조합 옮김, 착한책가게, 2017년) 작성자 | 최지현이 책은 크게 세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파트는 경제민주주의에 대한 역사적, 이론적 쟁점을 제시하며 협동조합 운동의 성장에 대한 역사적 관점을 제기한다. 두 번째 파트는 경제민주주의 혹은 인간적인 경제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실현된 모습, 즉 협동조합의 다양한 사례를 보여준다. 세 번째 파트는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 하에서의 세계 경제상황과 이러한 상황에서 협동조합은 어떤 전망을 갖는가를 논의한다. 원서의 제목은 ‘humanizing the economy’, 즉 경제 인간화되기 이다. ‘경제 인간화되기’ 혹은 ‘협동조합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첫 장(1장)과 ..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시작이다] “대한민국에서 장애아동은 아동도 장애인도 아니다" “대한민국에서 장애아동은 아동도 장애인도 아니다” [인터뷰]「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시작이다」 저자 이정은·김동석 원문보기: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0339 (베이비뉴스 권현경 기자, 2020.11.30.)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는 비영리단체 (사)토닥토닥과 함께 공공어린이재활병원에 대한 시민들의 구체적인 바람을 담은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시작이다」(마인드북스, 2020년)를 출간했다. 베이비뉴스(권현경 기자)가 이정은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연구위원과 공저자인 김동석 대표와 시민들이 바라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운영 모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내용을 기사로 정리했다.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