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주요 활동/대외활동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시작이다] “대한민국에서 장애아동은 아동도 장애인도 아니다" “대한민국에서 장애아동은 아동도 장애인도 아니다” [인터뷰]「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시작이다」 저자 이정은·김동석 원문보기: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0339 (베이비뉴스 권현경 기자, 2020.11.30.)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는 비영리단체 (사)토닥토닥과 함께 공공어린이재활병원에 대한 시민들의 구체적인 바람을 담은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시작이다」(마인드북스, 2020년)를 출간했다. 베이비뉴스(권현경 기자)가 이정은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연구위원과 공저자인 김동석 대표와 시민들이 바라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운영 모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내용을 기사로 정리했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모델 개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소아재활의료체계 구축의 시작”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소아재활의료체계 구축의 시작” ‘박범계 의원-전국시민TF연대’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 간담회 개최 원문보기: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7811 (베이비뉴스 권현경 기자, 2020.08.07.) 이정은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연구위원은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 및 운영을 위한 과제’를 주제로 시민들이 바라는 운영모델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발표했다. 이 연구위원은 소아재활치료 이용자가 겪는 어려움으로 ▲재활치료 공급 부족(소아재활 전달체계 부재: 장기간 입원이 허용되지 않아 2~3개월마다 전원 조치, 낮은 소아재활수가로 소아재활치료가 축소되고 비급여 수가 치료가 높은 실정) ▲교육-치료 연계 부족 ▲정보제공체계 부.. [발표] 사회복지 관점에서의 사회적농업 해남신문(2019년 12월03일 (화) 15:22:55 배충진 편집국장) 2. 사회적농업 재활·치료만이 아닌 사회통합을 지향해야 원문보기 http://www.hnews.co.kr/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52269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조미형 연구위원은 2019년 11월 15일 목포대학교 복지사회연구소에서 주최한 '농촌에서의 도전: 농업과 사회복지의 만남'이라는 학술심포지엄에서 '사회복지 관점에서 사회적농업'이라는 제목으로 주제발표하였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모델 개발]‘재활 난민’ 된 세살 아기… 3년간 병원 6곳 떠돌아 한겨례신문(등록: 2019-10-05 14:24 수정:2019-10-06 12:34)[토요판] 뉴스분석 왜재활치료 할 곳 없는 장애아동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912121.html#csidx806a325934713438b90873136bea1e3 이정은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연구원은 “의료기관에서 수익성이 낮은 소아 재활치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장애아동 재활치료에 미충족 의료 수요가 있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민간병원에 의존하고 있는 어린이 재활치료 공급 체계에서 공공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