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연구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회공헌-R2024-01] 독립연구자들의 지속가능한 연구활동 가능성 탐색 (황선영, 2024) 연구책임자: 황선영요약본 연구는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사례를 통해 연구소의 조직 형태를 왜 협동조합으로 선택했으며, 협동조합 연구소 설립 후 어떤 어려움을 겪었고, 생존을 위해 어떻게 이를 극복했는지 살펴본 후 향후 운영 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독립연구자들이 기존 조직에 속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협동조합을 설립해 지속가능하게 연구할 수 있었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들이 기존 조직을 떠나 새로운 연구소를 설립한 이유는 조합원들만의 자율적이고 윤리적인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며, 사회에 꼭 필요하지만 주목받지 못한 연구 주제를 발굴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싶다는 조합원들의 염원이 반영된 결과였다. 지난 5년간 협동조합 연구소가 겪은 연구 운영의 어려움은 “조직 규모 및 경력 열세.. [2023년 2월] 델리아 오언스의『가재가 노래하는 곳』 작성자 | 황선영 「가재가 노래하는 곳」(델리아 오언스, 2018, 살림출판사) 2023년 2월 협동조합 함께하는 연구는 「가재가 노래하는 곳」을 함께 읽었습니다. 조합에서 함께 읽어 온 책들은 대부분 최근 사회적 문제와 결이 맞닿아있던 사회과학 서적이었는데, 소설을 함께 읽는 것은 참 오랜만이었습니다. 처음에는 모두에게 조금은 낯선 작업이었지만 소설이기에 더 풍부한 해설을 곁들여 조합원들이 함께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더 재미있었던 세미나였던 것 같습니다. 「가재가 노래하는 곳」은 오랜 기간 동물을 연구하는 생태학자인 작가가 일흔에 써낸 첫 소설입니다. 작가 델리아 오언스의 원래 직업은 생태학자로, 이 소설책을 출간하기 전 오랜 기간 야생동물을 관찰해서 연구를 진행하고, 그 성과를 집대성한 2권의 책으.. 킴 닐슨의 『장애의 역사』 작성자: 이승영 함께하는연구의 2021년 8월 함께읽기에서 읽고 토론한 도서는 킴 닐슨 저자, 김승섭 번역의 『장애의 역사』 (동아시아 출판, 2020년)이다. 본 글에서는 『장애의 역사』를 간략히 소개하고, 개인적인 감상평을 제시한다. 원서 제목: A Disability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번역 출판된 이 책의 한국어 판의 제목은 '장애의 역사'이지만, 이 책의 원제는 "A Disability History of the United States"로, 직역하면 '미국의 장애사'다. 15세기 이전 북아메리카 토착민이 거주하던 시기부터 원서가 출간된 2010년 초반에 걸친 시기를 관통하며 미국에서 '장애'가 어떻게 등장하고, 어떻게 다뤄졌으며, 어떠한 과정을 거쳐 그 개념과 .. [협동조합 교육] 영화 함께관람 <위 캔 두 댓!> 후기 상영일시: 2021. 07. 06.(화) 오후 12시 상영장소: 함께하는연구 영화 위 캔 두 댓 후기 (1) 작성자1. 차훈민(실습생) 영화 (2008)은 안티카 협동조합 180(이하 협동조합 180)이 운영되는 과정에서 주인공 넬로와 정신장애를 가진 조합원들의 삶이 교차하며 발생하는 사건 사고를 다룬다. 넬로는 급진적인 성향으로 인해 소속 조합에서 쫓겨나 정신병원 환자들로 구성된 협동조합의 매니저로 부임하게 된다. 협동조합 180은 ‘바자리아법’으로 불리는 법령180호에 의해 정신병원이 폐쇄되면서 갈 곳 잃은 환자들을 위해 설립되었다. 이 협동조합은 명목상으로만 존재하는, 의사가 이사장이고 환자들이 조합원인 정신병원의 또 다른 형태일 뿐이었다. 이곳에서 넬로는 협동조합의 7원칙을 실천하며 조합원들의 권..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홍기빈 저, 지식의 날개, 2012년) 작성자 | 이승영 한줄 요약: 저자 홍기빈은 저서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에서 현대의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돈벌이 경제학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으며, 이것의 한계가 무엇인지, 이에 대해 저항한 경제학적 접근은 어떤 것이었는지 밝히며,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살림/살이 경제학은 어떤 것인지 밝히고 있다. 오늘날 '경제학'은 어떤 학문인가? 현대의 경제학은 인류의 행복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가? 저자는 오늘날의 경제학이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돈벌이 경제학'에만 치우쳐 있음을 지적하며, 여기서 벗어나 인간 삶을 진정으로 풍요롭고 인간답게 해 주기 위한 고민이 담긴 '살림/살이 경제학'을 발전시켜 나갈 것을 주장한다. '살림살이'라는 단.. 오시는 길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2길 51, 101호 연락처 | 전화 : 070-4312-0302 이메일 : coresearch.coop@gmail.com교통편 | 지하철 2, 4호선 사당역 6번 출구에서 670m (출구 나와서 500m 직진 후 좌회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