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주요 활동/자료실

[사회공헌-R2024-01] 독립연구자들의 지속가능한 연구활동 가능성 탐색 (황선영, 2024)

함께하는연구 2024. 6. 12. 12:26

[사회공헌-R2024-01] 독립연구자들의 지속가능한 연구활동 가능성 탐색.pdf
1.64MB

연구책임자: 황선영


요약

본 연구는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사례를 통해 연구소의 조직 형태를 왜 협동조합으로 선택했으며, 협동조합 연구소 설립 후 어떤 어려움을 겪었고, 생존을 위해 어떻게 이를 극복했는지 살펴본 후 향후 운영 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독립연구자들이 기존 조직에 속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협동조합을 설립해 지속가능하게 연구할 수 있었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들이 기존 조직을 떠나 새로운 연구소를 설립한 이유는 조합원들만의 자율적이고 윤리적인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며, 사회에 꼭 필요하지만 주목받지 못한 연구 주제를 발굴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싶다는 조합원들의 염원이 반영된 결과였다. 지난 5년간 협동조합 연구소가 겪은 연구 운영의 어려움은 “조직 규모 및 경력 열세로 인한 연구 수주의 어려움”, 조직 운영의 어려움은 “추구하는 가치와 협동조합의 특성을 고려한 신생 조직의 체계 잡기”, “신생 조직의 열세를 딛고 양질의 연구를 함께할 수 있는 연구 협력 파트너 찾기”, “민주주의의 필수 동반자, 갈등을 현명하게 관리하기”로 나타났다. 협동조합 함께하는 연구는 5년여의 세월 동안 직면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다양한 실험과 전략을 통해 극복해 왔지만, 여전히 풀어나가야 할 현실적인 과제도 안고 있었다. 우선 조직이 지향하는 가치와 운영에서 오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충돌하는 부분이었다. 당초 조합이 출범할 당시 조합이 추구하는 가치는 사회에서 꼭 필요하지만 주목받지 못하는 연구과제를 발굴하고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해 지역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의 경우는 과제비가 낮게 책정된 경우가 많지만, 연구소를 지속가능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운영비를 확보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연구의 규모를 확장하고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실적을 쌓기 위해서는 연구소의 규모를 확장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노동자협동조합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현재의 규모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어 이에 대한 논의도 진행 중이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I. 연구 문제 의식 및 연구 목적 1

II. 이론적 논의 4
  1. 협동조합과 관련된 논의 4
  2. 협동조합과 관련된 연구 경향 8
  3. 협동조합 생존요인 및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9

III. 연구 방법 및 내용 13
  1. 연구 방법 13
  2. 연구의 분석틀 13
  3. 연구 대상, 자료수집 방법(범위 포함) 및 분석 방법 14

IV. 사례의 개괄과 분석 결과 16
  1. 사례의 개괄 16
  2. 분석 결과 18

Ⅴ. 결론 및 함의 45
  1. 결론 45
  2. 이론적․실천적 함의 48

  참고문헌 52
  부록 55